-
중국에서 코로나 바이러스를 유행시킨 전력이 있어서 그런지 HMPV 바이러스가 중국에서 대규모로 확산 중이라는 뉴스에 관심을 가질 수 밖에 없습니다.
메타뉴모 바이러스(HMPV)는 중국은 물런이고, 인도에서도 확산을 하고 있으며,
벌써 국내에서도 발생을 하여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뉴스가 하루가 멀다하고 계속해서 나오고 있습니다.
국민들이 제2의 코로나가 될까봐 걱정하는 가운데,
오히려 질병관리청은 팬데믹까지는 갈 가능성이 낮다고 밝혔습니다.
그럼 이번 기회에 메타뉴모 바이러스 (HMPV 바이러스)에 대해서 알아 보는 시간을 가져 보겠습니다.
메타뉴모 (HMPV) 바이러스 ?
사람 메타뉴모 바이러스 (Human Metapneumo Virus)는, 4급 전염병인 사람 메타뉴모 바이러스 감염증을 말합니다.
주로 영아나 소아의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며, 소아의 호흡기 감염 원인 중 3위에 속합니다.
물런 면역력이 약한 어르신이나 장기 입원자 등의 고위험군에게도 치명적인 증상을 일으킬수 있습니다.
HMPV는 의학적으로 뉴모바이러스과에 속하는 음성 단일가닥 RNA 바이러스 입니다.
HMPV는 코와 허파의 상피세포를 감염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1) HMPV의 처음 발견
HMPV가 처음 발견 된 것은,
2001년 네덜란드에서 최초로 사람 메타뉴모 바이러스가 발견되었으며, 조류 메타뉴모 바이러스의 변이로 추정 됩니다.
여기서 HMPV가 예전에 없다가 새로 생긴 바이러스가 아니라,
지금까지는 메타뉴모 바이러스를 추천하는 기술이 없다가 기술의 발전으로 메타뉴모 바이러스를 발견한 것임을 알아주시기 바랍니다.
2) HMPV 감염경로
대부분의 감염은 비말을 통해 전파가 됩니다.
호흡기 비말을 통한 직접적인 전파와 감염된 사람의 오염된 물건이나 분비물의 접촉 등을 인한 간접전파가 있습니다.우라가 걱정하는 폐쇄된 공간에서 미세입자를 통한 전파는 드물게 나타납니다.
3) HMPV 발병 현황
2024년 12월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데이터에 의하면, 11월부터 HMPV 사례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HMPV 주간 검사 양성율은 1.94%로
독감 양성율 18.71%
코로나 19 양성율 7.10%로
높지 않는 비교적 낮은 수치이지만 점차 늘고 있는 것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국내에서도 검출율이 증가하고 입원환자가 증가 하고 있습니다.
HMPV 증상 진단
1) HMPV 증상
주요증상은 발열, 인후염, 인두염, 비충혈, 폐렴입니다.
HMPV의 증상은 독감과 유사하게 나타납니다.
대부분 3개월~12개월 유아에서 기침과 발열이 주로 나타나고 가래나 콧물로 감기와 비슷하거나 동일합니다.
코 목 등에 집중되지만 모세기관지염이나 폐렴으로 악화 되기도 합니다.
드물게는 뇌염이나 심근염을 일으키기도 하며, 면역력이 약한 사람 (노인, 미숙아, 장기입원자)이 감염되면 입원이 필요할 정도로 악화되기가 싶습니다.
그리고 잠복기는 4~5일 정도 됩니다.
2) HMPV 진단
소아에게 발열 및 기침 등 호흡기 증세가 있으면 비말을 채취하여 PCR 검사를 통해서 진단 합니다.
소아과 등 의료기관을 방문해서 진단 받으시기 바랍니다.
엄중식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에 따르면,
"이미 국내에서도 일정한 주기로 반복되는 패턴을 가지고 있다" 면서
"메타뉴모 바이러스의 검출량이 늘어난 것은 코로나19 이후 급격하게 발달된 PCR 기술 때문이라는 시각도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HMPV 예방 (백신)
1) 메타뉴모바이러스 백신
공식적으로 HMPV는 예방 백신이나 특이적인 항바이러스 치료제는 없는 상태이므로, 치료는 해열제나 수액 등으로 대증치료 (환자의 증상에 따라 대처하는 치료법)를 합니다.
2) 일상적인 예방 방법으로는
- 비누와 물로 30초 이상 손을 자주 씻는 방법
- 깨끗하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을 만지지 않기
- 아픈 사람과 긴밀한 접촉 피하기
- 재채기와 기침을 할때 입과 코를 가리기
HMPV 치료
위에 대증치료를 한다고 했듯이 특별한 치료가 아닌 주로 증상완화에 초점을 두고 치료를 진행 합니다.
초기 증세에는 해열진통제를 처방하며,
탈수를 예방하기 위해 물을 자주 섭취하거 수액치료를 하는것도 좋습니다.
아직까지 메타뉴모아바이러스가 강력하지 않아 대부분의 감염자는 자연적으로 회복이 됩니다.
아직까지 항바이러스제나 백신은 개발되지 않았습니다.
또한 코로나 비슷하게 최초에 감연되어도 면역이 유지 되지 않아 재감염이 될수 있으나 재감염시에는 증세가 약한것이 일반적 입니다.
현재 메타뉴모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이나 특정 치료제는 없으며, 대증요법과 지지요법에 의존 하고 있는데 유일한 치료법은 <리바비린> 인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국내의 진양제약에서 생산하고 있는데 HMPV 대증요법의 유일한 치료제로 항바이러스제인 <리바비린> 건조시럽제 특허를 출원한바 있으며, 사스출몰 당시 동남아 지역에 수출한 바 있습니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디지털대학교 왜 좋을까요? 학생수, 장학금, 등록금 (3) 2025.01.03 닥터린 멜라토닌 영양제 왜 먹어야 하나? (1) 2024.12.31 강아지 관절 영양제 추천 뭐가 좋을까요? (3) 2024.12.27 나고야 지브리 파크 예약 하기 놀거리 볼거리 정리 (4) 2024.12.23 Visit Japan 비짓 재팬으로 일본 입국소속 빠르게 (1) 2024.12.19